9월 23일 화요일,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첫 번째 기사입니다. <br /> <br />서울에서 마을버스를 탈 때 환승 할인이 사라질지도 모르겠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마을버스조합이 내년부터 환승 정책에서 탈퇴하겠다고 경고했는데 어떤 상황인지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마을버스는 이용객 중에 환승객이 많아서 환승 할인이 거듭될수록 적자가 커지는 구조입니다. <br /> <br />이걸 서울시가 100% 보전해주지 않아서 손실이 쌓여간다는 게 조합 측의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마을버스 업계와 서울시의 갈등,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여러 차례 손실 보전율 인상이나 노선 조정 등을 두고 줄다리기를 이어왔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는 매년 수백억 원 규모의 보전금을 지원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하지만 업계는 실제 손실액엔 못 미쳐서 경영난이 심각하고, 추가 지원이 필요하단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는 상당수 마을버스 회사에서 회계상 문제점이 확인됐다며 회계 투명성부터 확보하라고 반박했는데요. <br /> <br />만약 실제로 마을버스 환승 할인이 사라지면 시민들의 교통비 부담이 커지고 골목길 교통 접근성도 떨어질 거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다음 기사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국회에서 영유아 사교육의 문제점과 규제 방안 토론회가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사회 문제로 떠오른 '4세-7세 고시' 등에 어떻게 대응할지 여러 주장이 나왔는데 다소 비현실적인 제안들이 오갔다고 하네요. <br /> <br />가정 사교육비 총량제를 정하고, 이를 넘으면 부모에게 국가 지원금을 끊자는 제안이 나왔고 유아 학원 교습비 상한을 정해놓고, 이를 초과하는 학원에는 과징금이나 영업정지가 필요하단 방안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유치원이 여는 시간에는 유아학원을 운영하지 못하게 하자는 주장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즉, 각종 불이익을 주는 방식으로 규제하자는 취지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현장 상황이나 학부모 수요를 고려하지 않고 규제 아이디어만 나온다고 신문은 짚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교육부는 과열된 영유아 사교육에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"공교육을 혁신하겠다" 같은 원론적인 계획만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만약 영아 사교육을 모두 규제하는 식으로 통제하면 오히려 암시장 형태로 횡행할 거란 분석인데요. <br /> <br />학부모들 사이에서도 비현실적인 사교육 규제안에 대한 비판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학부모들의 수요를 만족시킬 교육 시스템을 어떻게 짤지 고민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. <br /> <br />다음은 정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50923064830665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